KTX-산천 짐칸 위치 - KTX-sancheon jimkan wichi

철로 : 기차

ktx산천 B형 차내시설 안내도 : 화장실, 짐칸 등. (사진 1장)

작성 19.04.03 : 드디어 끝났다 ㅅㅂ

수정 20.01.08 : 왠지 SRT랑 비교해보고 싶어서 글 적음.

수정 20.01.27 : 좀 더 직관적이고, 간단한 그림형태로 제2판을 만들어서 올림.[3]과 ktx-1 차내시설안내도 실제원본 그림을 활용했다.

수정 20.01.29 : 제2판 6-7에 AED 있는것처럼 표기되서 지움.

수정 20.08.08 : 18호차까지있는 ktx-1 화장실 찾는거면 이거 눌러서 가시오

A형 (산천 구형, 주로 경부선에만 배차함, 11만번대 객차)은 좀 많이 다를 수도 있다.

B형 (산천 신형, 경강선 등에 배차함, 14만번대 객차) 한정이라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내가 조사할때 실수로 B형만 조사하는 바람에. 아그냥 A형 다 갖다버리고 B형쓰자 코레일성님.

중련된 산천이면 11-18호차로 뜰텐데 10씩 다 빼고보면 똑같다.

이 판의 가장 좋은점은, 화장실이 공용인지 남녀따로 한칸씩 있는지까지 표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시설물 특징 ---

자동 제세동기(AED)만 4호차 내부 선반에 있다. 나머지 시설물은 객차 사이에 있다. 짐칸, 소화기는 모든 사이칸에 다 있고, 승무원방송실은 굳이 알 필요가 없어서 생략.

화장실 구분 : 

ㄱ. 속이 하얀 세모남자/여자 화장실 각 1칸씩 총 2칸있다. ( 2-3, 6-7 )

ㄴ. 속이 검은 세모공용화장실 1칸만 있는 것이다. 장애인화장실은 일반인이 쓸 수 있으며, 공용화장실이다. ( 1-2, 4-5, 7-8 )

제2판

제1판

******

확인차 SRT (산천B형 차체) 차내시설안내도와 비교해 봤다.

90% 가까이 배치도가 일치하나, 내가만든 배열과 미묘하게 다른부분이 있다. 화장실 한칸이나 자판기 위치가 한칸 차이나는 정도. 이 부분이 어째서 차이나는지는 모르겠다. 어쩌면 내 조사가 정확하지 않아서일수도 있다.

*******

인용 및 출처

[0] 0329 내가 실측해서 조사한 실제위치 값.

[1] 차내시설 안내도 사진원본 : //blog.naver.com/soo__s/221382066599

[2] KTX 산천B형 차내시설 안내도 그림 : 시설물이 객차내 어느쪽에 있는지 나타난 배치도

//www.korailtalk.co.kr/486

[3] SRT 차내시설 안내도 : 좌석에 배치된 모양새 ( SRT 홈페이지 >> 위 목록에서 SRT >> 서비스 )

//www.srail.or.kr/cms/archive.do?pageId=KR0402010000

---

사용하지 않고, 버린 자료. A형 산천.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