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24시간 심전도 검사란?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일상생활 중에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두근거림, 맥의 건너뜀, 흉통, 가슴 압박 감 등)들에 관하여 부정맥이나 기타 심장질환과의 연관성 유무를 밝히고, 그 발생빈도와 정도, 일상생활과의 관련성 등을 참고로 하여 치료의 방향을 설정하는 검사입니다.  부정맥은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단시간의 심전도 검사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24시간 또는 48시간 연속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작은 카세트 라디오 같은 것을 휴대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따라서 이 검사는 부정맥이나 원인을 알 수 없는 졸도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들에게 시행하며, 특히 선천성 심장병은 물론 개심술 후에는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정맥의 유무를 판단하는 데에, 그리고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데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위해 카세트 라디오 같은 것을 휴대하며 24시간의 생활 행동, 흉통,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등을 기록해야 합니다.

예약

병원을 내원하여 진료과에서 진료 후 처방을 받으면 해당검사실에서 검사날을 예약합니다.(검사기기의 수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당일 검사 불가합니다)

검사 방법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예약일에 검사실로 내원하여 흉부에 5~7개의 전극을 부착하고, 16*8*2.5cm, 무게 약 500g 정도의 검사기기를 허리에 착용 후 하루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의 심전도를 기기 내부의 tape에 기록하여 분석합니다. 검사를 받는 동안의 하루일과(24시간의 생활행동, 흉통,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등)를 기록지에 상세하게 기록합니다. 검사기기 부착 다음날 정해진 시간에 병원에 내원하여 기기를 제거한 후, 진료과의 예약일에 검사결과를 담당의사에게 듣습니다.

검사시 주의점

격렬한 운동이나 땀을 많이 흘리는 활동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 샤워 등을 할 수 없으며, 세안시에도 기기에 물기가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전기나 자석을 이용한 제품등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 자석요, 전기장판, 자석팔찌 등) 검사 시 복장은 가급적 품이 여유 있으며 가볍게 걸칠 수 있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관상 기기가 눈에 덜 띄도록 하기 위함) 
 

활동중 심전도 검사

활동 중 심전도 검사

심전도 기록계를 부착하고 생활 하면서 일상생활 중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24시간 심전도검사(홀터검사)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일상 활동 중의 심장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20 ~ 24시간 동안 심장박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예약하신 날짜에 내원하여 기록계(8.5*5.5cm, 약 100g)를 부착하고 가셔서 일상생활을 하며 다음날 내원하여 (24시간 이내) 기록계를 탈착합니다. 검사 중 샤워나 목욕은 하실 수 없으며, 간단한 운동이나 일상 활동은 그대로 가능합니다.

부정맥의 진단에 특히 유용하며, 일상생활 중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심계항진이나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과 부정맥과의 연관성 판단, 부정맥 약물의 효과 판정, 인공심장박동기의 효과 판정 등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주의사항)

검사를 위해 이틀간 내원하셔야 하며, 검사 중에는 샤워를 하실 수 없습니다.
기기를 몸에 부착하셔야 하므로 여유가 있는 편한 복장으로 오셔야 합니다.

24시간 혈압검사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일상생활에서의 혈압변화를 기록 및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고혈압 진단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주의사항)

검사를 위해 이틀간 내원하셔야 하며, 검사 중에는 샤워를 하실 수 없습니다.
혈압계를 팔과 몸에 부착하셔야 하므로 넉넉한 셔츠 종류의 상의를 입고 오셔야 합니다.

간헐적 심전도검사 (EVENT 홀터)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약 일주일간 심전도 기기를 부착하고 생활하면서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는 증상과 심장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주의사항)

검사기간 중 샤워는 가급적 삼가 하여 주시고, 부득이 하셔야 하는 경우는 검사 시 담당자와 상의하여 주십시오.

2주일 심전도검사(2WEEKS EVENT 홀터)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약 이주일간 기기를 휴대하면서 일상생활 중 운동전후, 혹은 이상이 나타나는 순간에 본인이 간편한 방법으로 직접 심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여 심장질환 유무를 확인합니다.

(주의사항)

휴대 중 기기에 충격이 가지않게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검사 판독 및 기타 문의는 검사실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Tel  : (02) 3410 - 2722
  • Fax :  (02) 3410 - 6955

  24시간 생활 심전도검사는 24시간 동안 일상생활에서의 심장 박동을 관찰하는 검사예요. 흔히 알고 있는 심전도 검사는 심장 박동을 짧은 시간 동안 기록하기에 가끔 생기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부정맥)은 발견할 수 없어요. 그래서 24시간, 하루 동안 작은 심전도 장치를 착용해 관찰하죠. 부정맥 치료 효과나 이식한 인공심장박동기의 효과를 판정할 때도 검사해요.

  금식은 하지 않아도 되지만 몇 가지 준비 사항이 있어요. 검사 중 샤워를 할 수 없으니 목욕을 하고 오세요. 또 몸에 심전도 전극을 붙이기 때문에 몸에 로션을 바르지 않는 것이 좋아요.

  검사실에서 여러 개의 전극을 앞가슴에 붙여요. 심전도를 기록하는 소형 장치를 허리에 차고 검사를 시작해요. 검사 중에는 생기는 통증은 없고 평소처럼 일상생활을 해주세요. 다만 모든 활동을 일기로 적어주세요. 집안일, 양치질, 샤워, 식사, 출근처럼 여러 가지 활동을 기록해주세요. 두근거림, 숨참, 가슴 통증 또는 어지러움과 같은 증상을 함께 느끼면 반드시 작성해주세요. 

  검사 중 심전도 장치 관리에 신경 써주세요. 심전도 전극이 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떨어졌다면 바로 붙여주세요. 밤에도 심전도 장치를 떼지 말고 유지해야 해요. 기계가 물에 젖으면 고장 날 수 있으니 샤워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자석, 전자레인지, 전기장판, 전기면도기는 심전도 기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15cm 이상 간격을 유지해주세요.

  검사 기간 종료 뒤 장치를 떼기 위해 작성한 일기를 가지고 병원으로 오세요. 검사자가 장치를 몸에서 떼어내면서 검사를 마무리해요. 의사는 심장 박동 기록과 활동, 증상을 비교하고 치료계획을 세워서 안내할 거예요.

  24시간 심전도검사로 심장 질환이나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았다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모니터를 착용하는 동안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더 오랜 기간 동안 심장을 관찰할 수 있는 이벤트 홀터 검사를 진행하기도 해요.

공지 목록

공지글

글 제목작성일

(2)

공지 내가 심방세동이라고?

2022. 6. 5.

심장내과검사|24시간심전도검사,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부정맥 증상(두근거림, 가슴통증) 진단에 유용해요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제이비내과 박정배2019. 5. 20. 20:12

심장내과 검사 ::

24시간 심전도검사

홀터모니터링

부정맥 진단 검사

하루동안 휴대용 심전도 기계를 부착하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부정맥 증상(두근거림, 가슴 통증 증상 등) 진단에 유용합니다.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가슴 쪽 피부에 심전도 전극을 붙이고(기계 종류에 전극의 개수는 다르며, 5~7개 정도) 24시간 동안 일상생활 후 다음날 병원에 다시 내원하여 기계를 떼고 기록된 심전도를 분석합니다.(필요에 따라서는 48시간 동안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계를 부착하는 동안은 물이 몸에 닿는 활동(샤워, 수영, 사우나 등)은 불가능하며, 전기장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

1. 부정맥의 진단

2. 부정맥과 평상시 일상생활의 관련성 파악

3. 항부정맥치료효과의 판정

4. 인공 박동기의 기능을 판정

5. 안정형협심증, 불안정형협심증 등 관상동맥질환 진단

6. 심근경색증 환자의 급사 위험도 평가

7. 부정맥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홀터 검사(24시간 심전도검사)가 유용한 경우

부정맥 증상이 있는 경우(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등)

만성 불안증이나 자주 놀라는 분의 경우

심전도검사 시 이상 소견을 받은 경우

부정맥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급사의 가족력(특히 남자는 45세 이전, 여자는 55세 이전의 급사 가족력)

실신 또는 어지럼증의 경험이 있는 경우

몸에 부착한 전극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극이 떨어졌을 경우에는 떨어진 그 자리에 바로 붙여주세요. 간단한 운동이나 일상생활은 그대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물이 닿는 활동, 샤워나 목욕 수영 등의 활동은 제한됩니다. 가전제품 중 전기장판의 사용은 금합니다.

위험한 부정맥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24시간심전도검사와 함께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심장의 문제 때문에 생긴 부정맥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 필요시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부정맥, 즉 위험한 부정맥인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갑상선, 전해질, 빈혈 등 다른 원인에 의한 부정맥인지 원인도 찾아봐야 합니다.

어떤 부정맥인지를 원인 규명도 중요하지만, 악성 부정맥(위험한 부정맥)이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악성 부정맥은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24 시간 심전도 검사 - 24 sigan simjeondo geom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