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골프에 처음 입문하면 가장 먼저 잡는 골프채는 7번입니다.

조금씩 시간이 지나면서, 짧은 클럽도, 긴 클럽도 잡게 되면서

Driver까지 잡게 됩니다.

그러면서 점점 비거리 욕심이 생기게 되고,

필드에 나가면서 Score에도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스코어를 줄이려면 클럽별로 일정한 거리를 확보해야 하며,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려면 방향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결국 거리와 방향성을 잡게 되면

Score는 당연히 낮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한 단계 점프를 하고 싶을 때 비거리를 늘리려고 노력합니다.

이것저것 시도하면서 스윙은 망가지고,

한동안 침체기라는 것이 오고

없던 슬라이스, 훅도 생기고,

클럽을 바꿔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골프는 비거리에 대한 욕심 때문에

끊임없이 반복되는 패턴인 것 같습니다.

처음 골프를 시작해도 신체적인 조건 등에 의해서

비거리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현재 여러분들의 7번 아이언 평균 비거리는 어떻게 되는지요?

그럼 오늘은 7번 아이언 비거리를 일반 아마추어, 상급 아마추어, 프로별 비교를 해보고,

클럽별 남자 평균은 얼마나 나오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에 나오는 거리는 골프 용품 업체가 공유한 자료를 재 가공하였습니다.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1. 7번 아이언 비거리 비교 (일반 vs 상급 아마 vs 프로)

골프를 배울 때 비거리에 대해서 가장 궁금한 것은 7번 채와 Driver 가 아닌가 싶습니다. 똑같은 Par3에서 6번 채로 치려고 준비 중인데, 누군가는 8번 채를 들고나갑니다. 남자들 사이에서는 묘한 기류가 흐릅니다. 결국 비거리에서 대해서 그 사람을 인정해야지만 편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거리를 맞추려고 덤비기보다는 빨리 포기하고 자기만의 루틴과 패턴으로 스윙하는 것이 더 좋은 스코어를 만드 실수 있다는 것은 다 아실 것입니다.

골프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되었지만, 7번 아이언의 평균 비거리가 140m 가 나오신다면, 이미 탁월한 신체조건을 가지신 것입니다. 비거리에 대한 욕심보다는 정확도/방향성에 대한 것을 중점적으로 길러 나가신다면 쉽게 골프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130m 이하로 나온다면, 비거리 증가를 위해 한 번 더 Level Up 해야 하는 시점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정 골프용품 업체에서 공유한 자료에 의하면, 일반 아마추어는 7번 아이언으로 남자 평균 130m, 상급 아마추어는 140m 비거리가 나온다고 합니다. 프로는 155m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럼 여자 프로선수들은 얼마나 나올까요? 제가 좋아하는 고덕호 유튜브 채널에서 고진영 선수가 나와서 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140m에서 7번 아이언을 선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자 프로 선수들과 상급 아마추어 간에는 어느 정도 비슷한 비거리가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하지만 선택한 클럽이 약간 짧아서 그린 위 공략에 실패하자, 고덕호 프로는 6번 아이언으로 한 번 더 쳐보자고 제안을 하고, 고진영 선수는 받아들이지만, 자존심 상한다는 말을 합니다. 비거리에 대해서는 남녀노소 상관없이 그 무엇인가 공통분모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 좀 더 세부적으로 클럽별 비거리 비교해 볼까요?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2.1. Driver : 일반 아마추어의 평균 비거리가 210m 지만, 개인적으로 좀 후하게 쳐준 거 아닌가 싶습니다. 드라이버나 훅나서 OB 나고 하는 공들은 제외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반 아마추어는 비거리와 공의 구질(방향성)의 딜레마에 빠져 있기 때문에 210m를 반복적으로 치기는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상급 아마추어로 가려면 방향성도 잡아야 하고, 220m 정도의 Driver 비거리는 확보되어야 합니다.

2.2. 우드/유틸리티 : 이 부분은 우드와 유틸리티 선호하는 분들이 다르기 때문에,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많지만 하기 그래프로 대체하고 넘어가겠습니다.

2.3. 아이언 : 일반 아마추어가 3번 아이언까지 사용할 가능성은 적을 듯합니다. 아이언 비거리에서 가장 중요한 거는 채별로 본인만의 거리가 확보되어 있는지입니다. 비거리가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7번 아이언으로 130m를 또박또박 칠 수 있다면, 7번 아이언으로 135~160M까지 엄청난 산포를 보이면서 치는 플레이어보다 좋은 Score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샤프트의 길이와 라이각 때문에 똑같은 스윙을 하게 된다면 일반적인 골퍼는 10M 씩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4. Wedge : Wedge는 거리 욕심보다는 일정한 거리를 보낼 수 있다면 방향성이 중요합니다. 결국 그린에 올리고 홀컵에 가까이 붙여서 한 번의 퍼팅으로 끝내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거리를 확보하고 방향성을 확보하셔야 합니다.

포스팅 정리하면서 현재 거리별 어떤 클럽을 사용하고 있는지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미국에서는 미터보다는 야드라는 단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위 변환을 통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

저는 정식 대회가 아니면 16개의 채를 골프 백에 넣고 다니는데, Scroe 상으로는 상급 아마추어는 아니지만, 비거리는 이미 충분히 확보되어 있네요. 비거리 욕심보다는 보다 정확한 샷을 구사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습니다. 근데 장타자와 같이 라운딩을 하면 비거리 욕심을 버릴 수가 없네요.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고 했죠?

비거리를 확보할지, 방향성과 정확도를 확보할지는 본인이 선택하셔야 합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확보하려면,

끊임없이 고민하고 열심히 연습해서 스윙을 가다듬어야 합니다.

하지만 꼭 기억하셔야 할 것이 있죠?

비거리 확보하려고 무리하다 보면 미스샷이 발생하게 된다는 부분입니다.

250m Driver 도 1타, 1m 퍼팅도 1타라는 것을

명심하시고 골프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모든 아마추어 분들이 골프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

드라이버 250M 날리고, 7번 아이언 140M 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7번아이언비거리 를 아마추어와 프로간에 비교를 해보았고,

#클럽별 #남자평균비거리 도 알아보았습니다.

핸디캡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계시나요?

USGA에서 2020부터 Worldwide Handicap System 을 통해

전 세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Handicap 계산방식을 공지했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밑에 포스팅 참고하세요.

골프 인생에서 한 번은 홀인원 하셔야죠?

주말골퍼의 홀인원 확률을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시면 포스팅 참고하세요.

필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영어, 은어/농담 편도 재미있습니다. ^^

8번 아이언 비거리 - 8beon aieon bigeo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