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 중국
  • 국내
  • 영국
  • 유럽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기차표 예약 후 탑승은 어떻게 하나요?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열차운행 정보안내

평균 소요시간

3시간 53분

최단 소요시간

3시간 17분

직행

직행

열차 일일 운행 횟수

약 28회

철도여객운송사

Korail

조치원발 부산행 열차 운행 시간

오늘 10월 27일 (목) 21:33

자주하는 질문 (FAQ) | 조치원-부산 기차표

  • 조치원발 - 부산행 열차 운행시간은 얼마나 소요되나요?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구간 열차의 평균 소요시간은 3시간 53분 입니다.

  •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구간 열차의 최단 운행 시간은 얼마나 소요되나요?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기차 구간의 최단 운행시간은 약 3시간 17분이 소요됩니다.

  • 조치원-부산 구간 직행 열차가 있나요?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구간은 환승이 필요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직행 열차가 있습니다.

  • 조치원 출발 - 부산 도착 구간 열차의 하루 운행 횟수는 총 몇회인가요?

    조치원 ~ 부산 구간 열차는 07:27-20:54 사이에 평균적으로 매일 28회 운영됩니다.

  • 조치원발 - 부산행 구간 열차 서비스는 어느 여객운송사에서 운영하나요?

    조치원 ~ 부산 구간 노선에는 Korail를 포함한 두개 이상의 철도여객운송사에서 운행합니다. 조치원 ~ 부산 구간 열차 운행 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운행 철도여객운송사별로 확인하고 비교해보세요.

  • 코레일 제휴 해외유일 판매대리점

    한국철도공사와의 제휴로 제공되는 국내 기차 예약 시스템

  • 보이는 가격 그대로 빠르게 결제

    다양한 국내/외 신용카드 지원으로 결제까지 쉽고 빠르게

  • 언제나 곁에 있는 고객센터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연결하는 전화, 채팅 및 이메일 상담

다른 열차 노선도 확인해보세요!    

  • 주요 열차 노선
  • 당신을 위해 추천 된
  • 인기 급상승 검색어

  • 스탠포드 트레해포드 기차
  • 플럼리 레이게이트 기차
  • 엘니스 데니 로지 기차
  • 웨스트 말링 글래스고 기차
  • 크로이던 티스허스트 기차
  • 리버풀 토스톡 기차
  • 팸브룩 말번 기차
  • 구이양 류저우 기차
  • 크로스턴 스톡포트 기차
  • 리즈 월러시 기차
  • 네언 쿼렌돈 기차
  • 케닐워스 미르필드 기차
  • 솔트번바이더씨 클리프턴 기차
  • 넌솔프 카든던 기차
  • 커킨틸록 앨러데일 디스트릿 기차
  • 마이클스톤 캠즐리 기차
  • 포츠머스 처치스트레톤 기차
  • 얼즈우드 쉬플리 기차
  • 멜튼모우브레이 페니스톤 기차
  • 콜란 케일리 기차
  • 베길디 도체스터 기차
  • 알렉산드리아 스윈튼 기차
  • 판버러 이브샘 기차
  • 소프 살빈 레인험 기차
  • 왈터-온-템즈 월섬 크로스 기차
  • 하벤트 노팅리 기차
  • 태드워스 매노비에 기차
  • 웨스트커비 할로 기차
  • 베이싱스토크 미드 데번 디스트릿 기차
  • 크로스비 버글 기차

  • 대전 제천 기차
  • 수원 전주 기차
  • 서울 정동진 기차
  • 서울 동해 기차
  • 동대구 영주 기차
  • 청량리 정동진 기차
  • 서울 제천 기차
  • 수원 광주 기차
  • 서울 부산 기차
  • 수원 대전 기차
  • 수원역 출발 논산 행 ktx 시간표
  • 함안역 출발 수원 행 ktx 시간표
  • 묵호역 출발 서울 행 ktx 시간표
  • 순천역 출발 안양 행 ktx 시간표
  • 묵호역 출발 상봉 행 ktx 시간표
  • 오송역 출발 부강 행 ktx 시간표
  • 서대전역 출발 서울 행 ktx 시간표
  • 창원역 출발 광명 행 ktx 시간표
  • 오송역 출발 진영 행 ktx 시간표
  • 청량리역 출발 안동 행 ktx 시간표
  • 삼척
  • 코엑스 아쿠아리움
  • 한글날
  • 에버랜드 할인
  • 대한민국 숙박대전
  • 동대구 왜관 기차
  • 서울 청도 기차
  • 묵호 청량리 기차
  • 천안 대천 기차
  • 김제 서울 기차
  • 가오화 왕강 기차
  • 베이징북부/북경북부 쓰핑/사평 기차
  • 지난동부/제남동부 허페이남부/합비남부 기차
  • 치타이허/칠대하 베이징서부/북경서부 기차
  • 어얼둬스/오르도스 옌안/연안 기차

  • 영등포 수원 기차
  • 부산 대구 기차
  • 대구 수원 기차
  • 구미 대구 기차
  • 용산 수원 기차
  • 서울 청주 기차
  • 전주 수원 기차
  • 순천 전주 기차
  • 서울 울산 기차
  • 강릉 정동진 기차
  • 함안역 출발 수원 행 ktx 시간표
  • 대전역 출발 창원 행 ktx 시간표
  • 용산역 출발 평택 행 ktx 시간표
  • 천안아산역 출발 창원 행 ktx 시간표
  • 동대구역 출발 대구 행 ktx 시간표
  • 서대전역 출발 논산 행 ktx 시간표
  • 행신역 출발 울산(통도사) 행 ktx 시간표
  • 광명역 출발 여천 행 ktx 시간표
  • 밀양역 출발 왜관 행 ktx 시간표
  • 울산(통도사)역 출발 서울 행 ktx 시간표
  • 2021년 미국 노동절 호텔 추천
  • 호텔 할인코드
  • Trip.com KR Instagram
  • 크리스마스
  • 2021년 일본 휴가
  • 창원중앙 광명 기차
  • 광주송정 벌교 기차
  • 서울 순천 기차
  • 부전 영주 기차
  • 순천 서대전 기차
  • 와팡뎬/와방점 한커우/한구 기차
  • 상추 동부 샹탄/상담 기차
  • 청두/성도 산하이관/산해관 기차
  • 신위/신여 신황서부 기차
  • 텅저우동부/등주동부 샤먼북부/하문북부 기차

회사소개

  • 트립닷컴 소개
  • 뉴스룸
  • 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About Trip.com Group

Copyright © 2022 Trip.com Travel Singapore Pte. Ltd.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운영자: Trip.com Travel Singapore Pte. Ltd. (라이선스 번호 02943, 대표 오이치통)
1 Harbourfront Ave, #03-12/13, Keppel Bay Tower, Singapore (098632)
고객센터: 한국 1666 0060 해외 +82 2 6917 8777

무궁화호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8280호가 견인중

개요
국가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대한민국
종류급행 열차 완행 열차
현황운행 중
기간1984년 1월 1일~현재
이전 운영자철도청
노선
기점서울 · 용산 · 청량리 · 광주 · 동대구 · 대전 · 부전 · 순천 · 포항 · 김천
역 수190
종점부산 · 목포 · 광주 · 영주 · 제천 · 진주 · 순천 · 익산 · 여수엑스포 · 영덕 · 포항 · 부전 · 동대구 · 태화강 · 동해 · 마산
운행 노선경부선 · 호남선 · 중앙선 · 경전선 · 영동선 · 동해선 · 전라선 · 장항선 · 경북선 · 태백선 · 충북선
세부 정보
궤간1,435 mm(표준궤)
노선 소유대한민국 정부

무궁화호(無窮花號)는 한국철도공사의 여객 열차 등급 이름이다.

개요[편집]

1980년에 도입된 우등형 전기 동차 운행 개시에 맞추어 새마을호하고 특급의 중간 등급으로 우등을 신설한 것을 시작으로 하며, 1984년 1월 1일 무궁화호로 개칭하였다. 무궁화호라는 이름 자체는 제1공화국 시절 처음 명명된 것이나 이는 현재의 무궁화호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다.

대표 색상은 빨간색이며 보조 색상은 파란색이다. 색상인 빨간색은 1980년 우등 신설 당시부터 2003년까지 공통적으로 통용되며 도색 개정과 동시에 노선 색상도 약간 바뀌었다. 보조 색상인 파란색은 차량 도색에서만 볼 수 있으며, 보조색상이 노란색인 열차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파란색으로 교체되었다.

1980년 우등형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는데, 이후 새마을호에서 무궁화호로 격하되고, 1984년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의 등장과 1985년 유선형 무궁화호 객차의 도입과 함께 점점 밀려나다가 1998년 통일호로 격하되었다. 이후에도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1969년부터 1982년까지 도입된 직각형 새마을호 객차가 무궁화호로 격하되었다. 또한 1990년대에는 직각형 무궁화호 객차에 한해 개량 사업을 하였었는데, 개량 사업으로 인해 기존의 수동문에서 자동문으로 개조 되면서 객차내 좌석도 교체되었다. 하지만, 개량 사업에서 제외된 객차는 통일호로 격하되었다.

KTX가 개통되기전에는 무궁화호의 장대열차가 많았다. 7300호대, 7400호대 2대를 총괄제어하여 객차만 10량이상으로써 편성된 장대 무궁화호가 주요 간선철도 노선들인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에 많이 편성됐으나 KTX가 개통된 이후엔 무궁화호 정기열차로는 장대 무궁화호가 사라졌었다. 다만 다시 한 번 열차시간표가 개정된 2004년 7월 15일에는 전라선에 한정해 왕복 1편성이 7300호대, 7400호대 2대를 총괄제어하여 객차만 10량 이상인 장대 무궁화호가 다녔지만 2006년 11월 1일에 열차 시간표가 개정된 이후로는 다시 폐지되어 장대 무궁화호는 정기열차에서 볼수가 없게되었다. 설날이나 추석같은 명절날에는 2007년 추석날까진 대수송기간임시열차로 나왔으며 그이후론 지금까지는 간간히 임시관광열차에만 객차가 10량이상인 무궁화호 장대열차가 나온다. 또한 2004년 KTX가 개통되고 통일호가 폐지됨에 따라 무궁화호가 이 자리를 메우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는 아니며, 주요 노선에서는 열차마다 정차역을 달리하는 선택정차를 하여 소요 시간은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최대한 많은 역에 정차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열차의 경우 급행열차로, 주요역 정차/단거리를 운행하는 열차가 모든 역을 정차하는 완행열차로 편성되고 있다.

2004년 4월 1일부터 KTX 개통과 함께 모든 통일호 열차는 대부분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1985년부터 도입되어 새마을호로 운행했었던 초기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는 무궁화호로 격하되었다.

또한 무궁화호는 새마을호를 보완하는 역할도 한다. 무궁화호는 KTX가 운행하기 전에는 전국을 연결하는 가장 대중적인 열차이기도 하였고, KTX의 등장 이후 이러한 기능 일부는 새마을호로 대체되었다. 무궁화호는 KTX나 새마을호가 정차하지 않는 역에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KTX나 새마을호가 운행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급행과 완행열차의 기능을 모두 가지기도 한다.

2009년에 우등형 전기 동차의 후속인 간선 전기 동차가 도입되어 무궁화호에 준하는 누리로라는 등급으로 경부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구간에서 운행 하고 있으며 추후에 무궁화호의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대로 누리로로 대체될 예정이다.[1]

2000년 비둘기호, 2004년 통일호, 2018년 새마을호[2]의 연이은 퇴역으로 20세기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부터 동고동락을 함께 했던 여객열차는 이제 무궁화호만 남게 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무궁화호도 이제 객차의 노후화로 인하여 내구연한이 도래되는 2027년 경에 전량 폐차되어 모두 추억으로 사라지게 된다. 현재는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 3량을 특실로 사용하다가 무궁화호 특실이 폐지되면서 일반실로 개조했다.

운행 구간[편집]

2021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무궁화호가 운행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일부 구간에서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내용주 1]도 운행된다.

현재 운행 구간[편집]

경부선[편집]

  • 1201~1224 (왕복 12회): 서울~부산[내용주 2]
  • 1311~1324 (왕복 7회): 서울~대전[내용주 3]
  • 1341~1344 (왕복 2회): 동대구~부산[3]
  • 1351~1362 (왕복 6회): 대전~부산

경전선[편집]

  • 1901~1914 (왕복 7회): 동대구~마산[내용주 4]
  • 1941~1946 (왕복 3회): 부전~순천
  • 1951~1952 (왕복 1회): 부전~목포
  • 1971~1976 (왕복 3회): 순천~광주송정

호남선[편집]

  • 1401~1408 (왕복 4회): 용산~목포
  • 1421~1424 (왕복 2회): 용산~광주
  • 1441~1444 (왕복 2회): 용산~서대전~익산
  • 1461~1464 (왕복 2회): 서대전~광주
  • 1469~1470 (왕복 1회): 익산~목포
  • 1471~1472 (왕복 1회): 익산~광주
  • 1981~1982 (왕복 1회): 광주~목포

전라선[편집]

  • 1501~1512 (왕복 6회): 용산~여수엑스포
  • 1531~1542 (왕복 6회): 익산~여수엑스포

장항선[편집]

  • 1551~1568 (왕복 9회): 용산~장항~익산

대구선·동해선[편집]

  • 1731~1744 (왕복 7회): 포항~영덕
  • 1751~1758 (왕복 4회): 동대구~포항[4]
  • 1761~1764 (왕복 2회): 포항~부전[5]
  • 1791~1796 (왕복 3회): 동대구~부전[내용주 5][6]

중앙선[편집]

  • 1601~1604 (왕복 2회): 청량리~부전
  • 1621~1622 (왕복 1회): 청량리~제천

태백선·영동선[편집]

  • 1631~1640 (왕복 6회): 청량리~제천~동해
  • 1641~1644 (왕복 2회): 제천~동해
  • 1671~1674 (왕복 2회): 동해~동대구
  • 1681~1682 (왕복 1회): 동해~부전

충북선[편집]

  • 1281~1282 (왕복 1회): 서울~제천
  • 1701~1716 (왕복 8회): 대전~제천
  • 4301~4304 (왕복 2회): 동대구~대전~제천~영주(충북종단열차)

경북선[편집]

  • 1801~1810 (왕복 5회): 영주~김천

과거 운행 구간[편집]

  • 경부선: 부산 → 용산[내용주 6]
  • 호남선: 용산 - 익산, 대전 - 광주, 용산 → 극락강[내용주 7]
  • 장항선: 용산 - 장항 - 익산 - 서대전
  • 경전선: 부전 - 마산, 마산 - 순천 → 진영
  • 경북선: 서울 - 영주, 영주 - 부산, 동해 - 부산
  • 경춘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으로 대체[내용주 8]
  • 광주선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로 대체[내용주 9]
  • 중앙선: 영주 - 부전
  • 영동선: 영주 - 동해, 강릉 - 동해→누리로로 대체[내용주 10]
  • 정선선: 청량리 - 아우라지, 제천 - 아우라지[내용주 11]
  • 동해선: 경주 - 포항, 서울 - 부전, 서울 - 해운대, 구포 - 신해운대[내용주 12]
  • 진해선: 마산 - 진해

정차역[편집]

필수정차역굵은 글씨로 표현하였다.

  • 경부선: 서울[7]-용산[8]-영등포-안양-수원-오산-서정리-평택-성환-천안-전의-조치원-부강-신탄진-대전-옥천-이원-지탄-심천-각계-영동-황간-추풍령-김천-구미-약목-왜관-신동-대구-동대구-경산-남성현-청도-상동-밀양-삼랑진-원동-물금-화명-구포-사상-부산
  • 호남선: 서대전-계룡-연산-논산-강경-함열-익산-김제-신태인-정읍-백양사-장성-광주송정-나주-다시-함평-무안-몽탄-일로-임성리-목포
  • 중앙선: 청량리-덕소-양평-용문-지평-석불-일신-매곡-양동-삼산-서원주-원주-봉양-제천-단양-풍기-영주-안동-의성-탑리-화본-신녕-북영천-영천-아화-신경주
  • 전라선: 익산-삼례-전주-임실-오수-남원-곡성-구례구-순천-여천-여수엑스포
  • 충북선: 동대구-대전-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오근장-청주공항-증평-음성-주덕-충주-삼탄-봉양-제천-영주
  • 경전선: 삼랑진-한림정-진영-진례-창원중앙-창원-마산-중리-함안-군북-반성-진주-완사-북천-횡천-하동-진상-광양-순천-벌교-조성-예당-득량-보성-명봉-이양-능주-효천-서광주-광주송정
  • 영동선: 영주-봉화-춘양-임기-현동-분천-양원-승부-석포-철암-동백산-도계-신기-동해
  • 태백선: 제천-영월-예미-민둥산-사북-고한-태백-동백산
  • 장항선: 천안-아산-온양온천-도고온천-신례원-예산-삽교-홍성-광천-청소-대천-웅천-판교-서천-장항-군산-대야-익산
  • 동해선: 부전-센텀-신해운대-기장-남창-태화강-북울산-신경주-서경주-안강-포항-월포-장사-강구-영덕[9]
  • 경북선: 김천-옥산-청리-상주-함창-점촌-용궁-개포-예천-영주
  • 광주선: 광주송정-극락강-광주
  • 대구선: 동대구-하양-영천

차량[편집]

현재 운행되고 있는 무궁화호 열차는 동차형 무궁화보다 보다 객차형 무궁화호가 훨씬 많은 편이다.

동차[편집]

무궁화호 열차 가운데 동차로 운행하거나 운행하였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미래에는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RDC) 후속 차량으로 다시 디젤동차가 도입되어 운행할 예정이다.

  • 우등형 디젤 동차(DEC) : 1979년 ~ 1999년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NDC) : 1984년 ~ 2010년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RDC) : 2008년 ~ 현재
  • 우등형 전기 동차(EEC) : 1980년 ~ 1998년 11월

객차[편집]

1열 4석의 좌석이 배열된 무궁화호 객차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1977년에 최초로 제작되었으며 2003년까지 생산되었다. 특실 전용 객차, PC방 객차, 장애인 객차, 바둑 객차, 유아 객차(놀이방 객차), 구형 카페객차,스넥카, 놀이방&스낵카 , 예식장 객차, 식당차 등이 존재하였다. 또한 무궁화호 객차의 연식에 따라 제조사도 4개사가 있으며 무궁화호 객차의 제조사엔 각각 탕엥산, 대우산, 한진산, 디자인리미트산이 존재한다. 무궁화호 객차의 연식별 종류로는 1980년대 초반까지 제작된 객차는 무궁화호 탕엥 객차, 원래 직각 새마을호였지만 훗날에 무궁화호로 격하된 직각 무궁화호 객차, 직각 새마을호와 똑같이 도입 당시엔 새마을호였지만 새로운 객차형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와 새마을호 PP동차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일부열차가 직각새마을호와 똑같이 무궁화호로 격하된 구특전 무궁화호객차, 1985년에서 1989년에 생산되어 대수선을 거친 무궁화호 대수선 객차, 1989년에서 1993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2X3배열 좌석개조객차, 1994년에서 1996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일반실 클래식 디자인형 객차, 1996년에서 1997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생산된 나뭇결 후기형 객차,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생산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무궁화호 리미트 초기형객차와 무궁화호의 현재 최후반연식인 2003년에 제작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무궁화호 리미트 후기형 객차까지 한국철도의 열차등급들 중 가장 많은 열차종류를 가지고 있다.

클래식 객차[편집]

2022년 기준 존재하는 제일 오래된 객차이다. 무궁화호 객차로서는 최초로 자동 승강문이 장착되었으며, 객실과 통로 간 출입문의 창문 또한 종전의 투명 유리에서 반투명 유리로 변경되었다.

나뭇결 초기형[편집]

외관은 클래식 객차와 비슷하나, 내부 인테리어가 일부 변경되었다. 제일 큰 차이점으로 내부 벽면에 나뭇결 시트지가 부착되었다. 이 객차가 나뭇결 객차로 불리는 이유 또한 이 나뭇결 시트지 때문이다. 선반의 테두리, 그러니까 좌석표가 부착되는 부분이 부식무늬가 입혀진 금속 재질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되었다.

나뭇결 후기형[편집]

초기형에 비해 내부 인테리어가 많이 달라졌다. 내부 조명이 기존의 직접조명 방식에서 간접조명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객실 구석 좌석 (1, 3, 69, 71번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었다. 창문 또한 초기형보다 가로로 넓어졌다.

리미트 초기형[편집]

기존 객차에 비해 내부 인테리어가 확연히 달라졌다. 객실과 통로 사이를 오가는 문이 자동문으로 변경되었고, 객실과 통로 간 벽 또한 격벽에서 유리벽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에 비해 출입문이 넓어졌다. 다만 출입문 갯수는 기존의 4개에서 2개로 줄었다. 냉방장치 위치가 상부에서 하부로 변경되었으나, 추후 심한 결함이 발생해 에어덕트를 삭부로 연장했고 가정용 벽걸이 에어컨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었다. 천장 또한 KTX-I과 유사하게 설계되었다. 선반은 기존의 금속 선반과 달리 푸른색 아크릴 선반이 장착되었다.

리미트 후기형[편집]

식당차와 카페 객차[편집]

무궁화호의 경우 새마을호보다는 급이 낮은 열차로, 식당차를 모든 편성에 연결하지 못하였다. 경부선의 일부 열차와 호남선, 전라선의 식사 시간대 일부 열차, 중앙선과 태백선을 경유하던 청량리-동해간 우등형 전기 동차(EEC)에 연결되었다. 또한 유선형 새마을호의 무궁화호 특실 격하로 인한 연결도 있었다.

이후 식당차의 인력 관리 효율성 문제로 기존 식당차를 폐지하는 대신 2008년 2월 1일부터 장항선을 시작으로 카페 객차가 투입되었으며, 이후 경부선·호남선·전라선·경전선·경북선 등지로 확대되어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2월 20일부터 중앙선·태백선·영동선 등지에도 카페 객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며, 같은 해 12월부터 충북선·호남선·경전선·영동선·동해남부선 등지를 운행하는 단거리 무궁화호에 미니카페가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무궁화호의 식당차는 기존의 일반 객차를 개조한 차량이 투입되며, 2001년 경 디자인리미트에서 새로 제작한 식당차는 레일크루즈 해랑으로 개조되었다.

2018년부터 가판대, 노래방, 테라피룸을 철거하고 자판기의 위치 조정, 콘센트 설치, 지하철·전철과 동일하게 장의자를 설치하는 등의 개조를 진행하고 있다. 단, 사업 추진 기간 중 3년 내 폐차 계획이 수립된 노후 차량은 개조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카페 객차 운행 구간[편집]

현재 2021년 12월 28일을 기준으로 카페 객차가 투입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노선구간번호
경부선 서울 ~ 부산 1201~1224
서울 ~ 대전 1313~1324
대전 ~ 부산 1351~1362
호남선 용산 ~ 목포 1401~1408
용산 ~ 광주 1421~1426
전라선 용산 ~ 여수엑스포 1501~1517
장항선 용산 ~ 익산 1551~1568

객차형 미니 카페 운행 구간[편집]

2020년 12월 28일을 기준으로 미니 카페 객차가 투입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노선구간번호
충북선 대전 ~ 제천 1701, 1703~1704, 1706~1709, 1711~1712, 1714~1716
호남선 광주 ~ 목포 1981~1982
영동선 동대구 ~ 동해 1671~1674
동해 ~ 부전 1681~1682
경전선 부전 ~ 순천 1941~1942
포항 ~ 순천 1943~1944
부전 ~ 목포 1951, 1954

카페 객차 미운행 구간[편집]

2019년 12월 1일 기준으로 카페 객차가 운행되지 않은 구간은 다음과 같다. 판매 승무원이나 자판기가 없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하여야 한다.

노선구간번호
경부선 서울 ~ 대전 1311~1312
대전 ~ 부산 1355~1356
경전선 부전 ~ 순천 1952~1953
순천 ~ 광주송정 1971~1974
충북선 동대구 ~ 영주 4301~4304
동해선 동대구 ~ 태화강 1772, 1785~1786, 1789
동대구 ~ 부전 1773~1774, 1777, 1779~1780, 1784, 1788, 1793~1795

자전거거치대 운영 구간[편집]

현재 2020년 7월 29일을 기준으로 카페 객차 내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운용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다만,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하며 명절 대수송 기간에는 운용하지 않으므로 이 점 유의하여야 한다.

노선구간번호
중앙선 청량리 ~ 안동 1601~1602, 1604~1607, 1609~1610
호남선 용산 ~ 목포 1401, 1407~1408, 1410
경북선 영주 ~ 김천 1801~1810

차내 안내방송[편집]

일반적으로 무궁화호는 모든 열차에서 녹음된 안내방송을 재생하는 자동 안내방송과 승무원이 직접 실시하는 육성 안내방송을 혼합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중단거리를 주로 운행하였던 무궁화호 디젤 동차나 그 후속인 무궁화호로 개조된 통근형 디젤 동차에서는 자동 안내방송 장비를 탑재하지 않는다. 무궁화호 자동 안내방송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4개 언어로 실시해왔으나, 2006년부터 단계적으로 일본어·중국어 방송이 폐지되어 한국어·영어로만 안내하고 있다.

음악으로는 정차역 음악으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 4번 1악장 BWV1049 알레그로»가, 시종착역 음악으로는 «코레일 로고송 MR버전» 일부분이 재생된다.(2014년 5월 11일까지) 특히 출발역에서는 «Let it be» 가야금 연주곡, «Kiss the rain» 가야금 연주곡, «눈의 꽃» 가야금연주곡이 번갈아 재생되며, 종착역에서는 안내방송이 나온 후 «Let it be» 가야금 연주곡, 스티브 바라캇의 «Dreamers»의 일부이 재생되었으나 2013년 이후 시/종착역 안내방송, 정차역 안내방송을 제외한 나머지 음악은 송출되지 않는 상태였다. 2012년 7월경 이전에는 출발역에서는 코레일 사가의 기타 연주곡이 재생되었으며, 정차역 음악으로 코레일 사가 피아노 연주곡이, 종착역에서도 코레일 사가의 피아노 연주곡이 재생되었다. 2014년 5월 12일부터는 ITX 새마을이 개통되어 ITX 새마을과 같은 음원이 재생된다.출발시에는 ‘봄소나기’, 정차역 방송은 ‘어린달’, 마지막역은 ‘날자꾸나’이다. RDC 열차는 방송을 전체 여객전무가 수동으로 방송한다.

한국어 성우[편집]

  • 2000년 ~ 2002년 : 미상
  • 2002년 ~ 2004년 : 이선
  • 2004년 ~ 2006년 : 미상[내용주 13]
  • 2006년 ~ 2010년 : 이윤정
  • 2010년 ~ 2012년 7월 : 기계 합성음[내용주 14]
  • 2012년 7월 ~ 2014년 5월 11일 : 조영미[내용주 15][내용주 16]
  • 2014년 5월 12일 ~ 현재 : 조예신[내용주 17]
  • 2021년 1월 5일 ~ 현재 : 기계 합성음[내용주 18]

영어 성우[편집]

  • 2000년 ~ 2010년 : 브랜든
  • 2010년 ~ 2012년 7월 : 기계 합성음
  • 2012년 7월 ~ 2014년 5월 11일 : 브랜든
  • 2014년 5월 12일 ~ 현재 : 리사 켈리[내용주 17]
  • 2021년 12월 28일 ~ 현재: 기계 합성음

차내 음원[편집]

  • 출발시 : 봄 소나기 (2014년 5월 12일 ~ 현재)
  • 정차시 : 어린 달 (2014년 5월 12일 ~ 현재)
  • 종착시 : 날자꾸나 (2014년 5월 12일 ~ 현재)

안내방송[편집]

  • 출발 안내방송
    • 한국어: 우리 열차는 XX행 무궁화호 열차입니다. 열차가 곧 출발합니다. 가지고 계신 승차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영어: welcome aboard the Mugunghwa train, Departing for XX. The train will soon be departing.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ticket for this train. thank you.
  • 정차 안내방송
    • 한국어: 우리 열차는 잠시 후 XX역에 도착합니다. 미리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영어: We will soon be arriving at XX Station. Please make sure you have all your belongings with you when leaving the train, Thank you.
  • 종착 안내방송
    • 한국어:우리 열차는 잠시후 마지막 역인 XX역에 도착합니다. 소지품을 두고 내리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코레일과 함께해주신 고객 여러분,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 영어: We will soon be arriving at XX Station, the final destination of this train, Please make sure all you have belongins with you when leaving the train. Thanks you for traveling with korail.

사진[편집]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무궁화호 객차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CDC 개조 무궁화호 동차 (RDC)

  • 무궁화호 열차 카페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무궁화호 침대차 (퇴역)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 부산 무궁화호 노선 - busan mugunghwaho noseon

    철도청 시절의 무궁화호 승차권

같이 보기[편집]

  • 누리로
  • 새마을호
  • 비둘기호
  • 통일호

각주[편집]

내용주

  1. 승차권 예/발매 시스템에는 "무궁화RDC"로 표시된다.
  2. 2019년 12월 30일 부로 열차 운행 조정으로 1225~1226 열차가 구간이 단축 되었다. 이에 따라 구간단축된 1225~1226 열차는 열번이 바뀌어 1357~1358열차로 운행하게 된다.
  3. 1311~1312: 주말(토~일), 공휴일 운휴
  4. 1907, 1912~1914 (왕복 2회): 동대구~진주
  5. 1771~1772, 1778, 1785~1786, 1789 (왕복 3회): 동해선 전철 개통으로 동대구~태화강으로 단축되었다.
  6. 서울역의 수도권 전철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공사로 인해 심야 1편도로 운행하였다.
  7. 광주 - 극락강 구간 교량침목 교환공사로 2016년 10월 4일부터 2016년 10월 26일까지 임시로 등장한 운행 계통이다. 심야 1편도로 운행하였다.
  8. ITX-청춘,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열차로 대체 운행 중
  9. 통근열차 (대한민국)로 대체 운행 중
  10.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로 대체 운행 중
  11. 정선아리랑열차로 전환
  12. 서울 - 신해운대 ITX-새마을 열차가 구포 - 서울간만 운행하였을 때 임시로 등장한 운행 계통이다.
  13. 2000년~2002년 성우와 동일하다.
  14. 서원주역의 경우 성우 안내방송 대신 기계 합성음을 사용한다.
  15. 개정 이전 까지는 ITX-청춘 열차의 차내안내방송을 담당하였다.
  16. 경부선, 경전선 무궁화호 하행의 대구역, 동대구역 구분 안내방송과 일부 주요 여행 안내방송과 경전선 구포역, 안내방송, 장항선 천안역 안내방송 및 동해남부선 월내역 안내방송 역시 현재까지 담당하고 있다.
  17. ↑ 가 나 ITX-새마을 개통으로 안내방송이 변경되었다.
  18. 서원주역, 신경주역, 북울산역 한정.

참조주

  1. 무궁화호를 대체하고 친환경 열차시대를 열 '누리로(Nooriro)', 코레일 공식 블로그
  2. PP동차는 차량 노후화로 인한 잦은 고장으로 2013년 1월에 조기 퇴역하였음.
  3. 2022년 11월 누리로 전환예정
  4. 2022년 11월 누리로 전환예정
  5. 2022년 11월 누리로 전환예정
  6. 2022년 11월 누리로 전환예정
  7. 호남선/전라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통과, 경부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필수정차
  8. 경부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통과, 호남선/전라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필수정차
  9. 부전역에서 영덕역으로 바로 가는 무궁화호는 없으며 부전역~포항역, 포항역~영덕역 이렇게 운행패턴이 나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