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주사 종류 - gamgi jusa jonglyu

All about Money

건강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 감기 주사와 링거의 효과는 어떨까요 [M]

ijason 2017. 12. 4. 18:07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 감기 주사와 링거의 효과는 어떨까요 [M]

"감기 입니다. 주사 맞고 가세요."
"빨리 회복하도록 링거 맞으시겠어요?"

감기 때문에 병원에 가서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셨죠?
의사가 처방을 하지 않더라도 환자가 직접 주사를 맞아 감기를 빨리 고치고 싶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고요. 감기 주사나 링거의 성분은 뭘까요? 효과는 있는걸까요?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원래 감기는...

폐로 드나드는 공기가 다니는 길을 기도라고 합니다. 기도는 코, 입, 성대까지를 상기도로 구분하고 아래 부분을 하기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도 중 상부에 위치한 상기도 감염에 따른 염증 질환을 감기로 표현하는데요. 정확하게 의학적으로는 "감기 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기도에 염증이 생겼을 때는 "기관지염"으로 부르고 있어요.

상,하 기도에서 발견되는 증상들, 요즘은 급성 염증 질환 까지 총칭해서 "감기 증후군"이라는 병명을 사용하는데요.

상기도의 염증을 일으키는 주원인은 바이러스 입니다. 바이러스는 체내 면역의 힘으로 치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용하는 항생물질인 항생제는 세균에는 효과가 있지만 바이러스에는 듣지 않습니다. 다만 감기의 대부분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면역력으로 치유할 수 있으니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감기 주사 종류 - gamgi jusa jonglyu

감기 치료에 사용하는 주사, 링거의 종류, 성분, 효과

감기를 빨리 치료하고 싶어서 병원에 내원하고 주사를 놔달라고 희망하는 환자가 적지 않습니다. 감기에 걸렸는데 주사를 맞으니 금방 좋아졌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은 탓이겠죠. 그럼 감기 주사는 실제로 어떤 효과를 주는걸까요? 감기 주사와 링거의 종류는 크게 4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나. 감기에 대한 항생제 효과
둘. 감기에 대한 영양제 링거

셋. 감기에 해열제 주사

넷. 감기에 대한 비타민의 효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하나. 감기에 대한 항생제 효과
앞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바이러스 감염은 항생제로 고칠 수 없습니다. 감기의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감기에 항생제를 써도 효과는 없습니다.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진행된 경우에는 항생제 효과가 있습니다. 위독한 감염이 아니면 항생제는 내복약으로 충분히 효과적입니다. 위독한 세균 감염으로 폐렴 등을 유발한 경우에는 항셍제를 링거로 투약합니다.

둘. 감기에 대한 영양제 링거

링거액에는 칼로리의 토대가 되는 포도당과 나트륨 등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링거 내의 포도당은 혈관염이나 혈관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 5~10%정도의 농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링거량 500ml, 포도당 5% 농도일 경우 100kcal의 칼로리를 내포하고 있으며 링거량 500ml, 포도당 10% 농도일 경우에는 200kcal 정도가 됩니다.
포카리 스웨트 같은 스포츠 이온 음료를 예로 들자면 500ml에 135kcal 정도가 있으니 링거를 맞는 경우도 비슷한 수준의 칼로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환자가 구토, 설사, 식욕 부진을 경험하고 있어 음료수를 마시기 힘들다면 링거가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지요.

3.감기에 해열제 주사

해열제 주사는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열제 주사는 부작용의 위험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과거에 잘 이용하던 해열 진통제 주사를 예로 들자면 쇼크, 혈압 저하, 맥박 이상 등의 위독한 부작용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다른 해열제의 효과가 기대 이하이거나 다른 해열제의 투여가 불가능한 경우의 긴급 해열 목적으로 처방할 수 있지만 내복 약 등의 다른 해열법이 있다면 이용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몸에서 발열 자체는 자연스러운 반응이기에 면역력을 올린다는 관점에서는 높은 열도 괜찮다고 합니다. 열에 따른 증상이 강하지 않다면 무리하게 낮출 필요는 없습니다. 열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해도 일부러 주사를 맞을 필요 없이 먹는 약으로 충분히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4.감기에 대한 비타민의 효과

안타깝게도 비타민 주사가 감기에 좋다는 의학적 근거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비타민의 링거를 감기 완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은 플라시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모르지만 기대할 만한 효과는 없다고 합니다. 

결국 감기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은 안정이 제일!

감기에는 안정과 휴식이 필요합니다. 감기에 처방하는 약은 콧물과 기침 등 감기의 여러 증세를 덜하게 하는 목적으로 이용할 뿐 감기 자체에 대한 특효약은 없습니다. 감기 치료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안정을 취하고 면역력을 높이고 수분과 영양을 충분히 취하는 것입니다.

단, 몸의 면역력이 약해진 분들 노인의 경우 감기가 심해져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열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기침이 멈추지 않을 뿐 아니라 기운이 없는 상태라면 그 증세를 면밀히 살펴보고 가까운 의료기관에 반드시 방문해 진찰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 감기 주사와 링거의 효과는 어떨까요 [M]

소아 어린이 아이들의 감기, 알레르기성 비염, 축농증이 걱정이라면 아래 포스팅도 확인해보세요.

2017/12/02 - [건강] - 이비인후과 의사가 알려 준 육아 꿀정보 유아 어린이 감기가 좀처럼 낫지 않는다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도 의심 [M]

2017/12/03 - [분류 전체보기] - 3세 유아 6세 어린이 감기로 코미시럽 복용 후 이상증세가 있다면 [M]

춥고 건조한 요즘 입원해 계시는 환자분께서 감기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있으세요.

감기주사 한방 놔주면 단번에 낫는데 왜 안놔주냐묻는 분들이 계세요.ㅠㅠ

정말, 감기주사가 있을까요?

정말, 주사 한 방이면 감기가 나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감기에는 특효약이 없습니다.

감기는 상부 호흡기의 점막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면서 일어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인데요.

코감기는 리노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가장 흔한 감기이고 많은 콧물이 특징입니다.

목감기는 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기이고 몸살같이 증상이 나타납니다.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은 급성후두염을 잘 일으키고 개짖는 듯한 컹컹하는 기침증상이 나타납니다.  

RS바러스는 폐의 작은 기관지에 염증을 밤잠을 못 잘 정도로 심한 기침과 많은 가래가 생깁니다. 

그런데 바이러스를 죽이는 약은 소수질병에서 개발되어 있지만 (대상포진바이러스, 신종플루바이러스 등) 다양하게 변종을 하는 감기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약은 아직 개발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내가 감기약이라고 먹은 약은 뭐지? "라는 황망한 생각이 드네요....

우리가 흔히 감기약이라고 알고 있는 약은 증상을 치료하는 약입니다. 

대증요법이라 해서 기침나면 거담제, 콧물나면 항히스타민제, 열나면 해열제 등등

이렇게 증상치료를 해서 환자분이 덜 힘들게 하고 자연회복하는데 뒷받침을 해주는 거지요. 

감기는 합병증이 생기지 않으면, 일정한 기간에 걸쳐서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것이 보통이에요.

그러면 환자분들이 얘기하는 단박에 증상이 좋아지는 감기주사는 도대체 뭘까요? 

일반의원에서 진통소염주사를 엉덩이에 한방 놓아줍니다. 

어떤 분은 스테로이드 주사를,  어떤 분은 약한 항생제를 놓는 분도 계십니다. 

보통은 감기가 1주일 정도 가기때문에 감기 4일째쯤 주사를 놓으면 회복속도가 굉장히 빨라지지요.

어차피 환자분은 아플거 다 아프고 고생할거 다 한다음 

저절로 회복을 할 시기에 이 주사를 놓으면 굉장히 빨리 회복되고 

요때 감기주사 맞으시는 분은 이 주사가 감기특효주사라 생각하시지요. ^^

또 링겔주사를 맞으면서 뭔가 팔이 지리한 느낌, 땀이 확 나는 느낌, 온몸이 축 풀리는 느낌이 있고 

링겔 다 맞고 나면 몸이 가벼워지고 감기증세가 좋아지면 또 감기에 특효주사라 생각하시지요.

이런 주사는 링겔에다가 영양제 섞고 아스피린주사도 섞고 스테로이드까지 넣으면 

그냥 원빵에 해결되는 감기 명약주사가 됩니다. 

환자분들 굉장히 좋아하시죠~~~ 엄청 빨리 낫는다구요.

저런 식으로 감기, 몸살에 대한 방법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그런데 저에게 저런 방법으로 감기 나을거냐라고 물으시면 NO하겠습니다. 

물론 해로운 약은 아닙니다만 저절로 나을수 있고 면역력도 키워 줄 수 있는데 

구지 약물을 빌려서 나아야한다고는 생각이 들지않네요.

걱정되는 점은 약물 부작용이 날 가능성이 높고 

감기가 아닌 다른 질환이 있을때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폐렴일경우 저렇게 감기 특효링겔 맞으면 빤짝하다가 다시 엄청 심해지지요. 

결국에는 입원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저런 주사를 놓는 것은 아마도 의사선생님이나 환자분의 가치관의 차이가 아닐까 해요. 

감기는 영어로 common cold 라고 해요.

그 의미처럼 차가운 기운이 내 몸속에 들어오려고 하는 것이죠.

집안 온도를 따뜻하게하고, 이불을 덮고 주무시고 , 따뜻한 보리차나 꿀을 탄 레몬차,

유자차 등 충분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주세요.

면역력이 떨어져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니  규칙적인 운동으로 생활의 리듬을 유지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며 독감 예방주사를 맞거나 비타민 D 주사를 맞아 면역력을 키워보세요. 

감기는 멀리멀리 갈겁니다. 

 그리고 감기는 내몸이 나에게 보내는 신호에요.

 "  좀 쉬어달라고"

감기 주사 종류 - gamgi jusa jonglyu

    ( 글쓴이 : 병동 수간호사 이원남 )

   최선을 다하는 모습으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