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목차

  • 1 기본 명령어
    • 1.1 연산자
    • 1.2 변수
      • 1.2.1 광역 변수
      • 1.2.2 지역 변수
    • 1.3 유용한 명령어
  • 2 기본 함수
  • 3 기본 변수
  • 4 주의할 점
    • 4.1 변수로 지정할 수 없는 문자열
    • 4.2 흔한 실수

기본 명령어

연산자

  • 실수의 연산
기본 연산자 기호
명령어 예시 결과
+ 3+5 >> 3+5

ans = 8

* 3*5 >> 3*5

ans = 15

/ 5/3 >> 5/3

ans = 1.6667

\ 5\3 >> 5\3

ans = 0.6000

^ 5^3 >> 5^3

ans = 125

  • 행렬의 연산
두 행렬
[math]A=\begin{pmatrix}0&1&1\\1&2&1\\0&0&1\end{pmatrix}, B=\begin{pmatrix}-1&3&2\\0&1&0\\3&1&-1\end{pmatrix}[/math]
의 연산을 보자.
행렬의 기본 연산
명령어 설명 결과
+ 행렬의 합 >> A+B

ans =

   -1     4     3
1 3 1
3 1 0
* 행렬의 곱 >> A*B

ans =

    3     2    -1
2 6 1
3 1 -1
/ 행렬의 나누기 >> A/B

ans =

   0.6000   -1.0000    0.2000
   0.8000   -1.0000    0.6000
   0.6000   -2.0000    0.2000
\ 행렬의 역나누기 >> A\B

ans =

    5    -4    -5
   -4     2     3
    3     1    -1

<references />

변수

  • 행렬 변수

광역 변수

지역 변수

유용한 명령어

  • format 명령어를 이용하여 수치 표현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format 명령어 사용법
기호 설명 결과
format short 소수점 4번째 자리까지 표시 >> 257/17

ans = 15.118

format long 소수점 15번째 자리까지 표시 >> 257/17

ans = 15.1176470588235

format short e 소수점 4번째 자리까지 과학적 기수법으로 표시 >> 257/17

ans = 1.5118e+01

format long e 소수점 15번째 자리까지 과학적 기수법으로 표시 >> 257/17

ans = 1.51176470588235e+01

format short g 유효숫자 5자리까지 표시 >> 257/17

ans = 15.118

format long g 유효숫자 19자리까지 표시 >> 257/17

ans = 15.1176470588235

  • clc: 명령어 창을 깨끗하게 지운다.
  •  ; : 마지막에 세미콜론이 붙은 명령어는 결과를 출력하지 않고 실행된다. (그래픽 명령어 제외)
  •  % : 이 기호 뒤의 내용은 주석처리된다.

기본 함수

기본 함수
명령어 설명 결과
sqrt(x) 제곱근 >> sqrt(2)

ans =

   1.4142
exp(x) 자연상수(e)를 밑으로 하는 지수함수 >> exp(1)

ans =

   2.7183
abs(x) 절대값 >> abs(-2.1)

ans =

   2.1000
log(x) 자연로그 >> log(2)

ans =

   0.6931
log10(x) 상용로그 >> log10(2)

ans =

   0.3010

기본 변수

주의할 점

변수로 지정할 수 없는 문자열

다음 문자열은 매트랩에서 변수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강제로 지정할 수는 있으나 그로 인해 충돌 또는 오류가 나올 수 있습니다.)

break
case
catch
classed
continue
else
elseif
end
for
function
global
if
otherwise
parlour
persistent
return
spmd
switch
try
while
and
pi
inf
i
j
NaN

흔한 실수

  • log는 지수로그함수입니다. log10가 상용로그함수입니다.

※이 글은 매틀랩 도움말센터 MATLAB Documentation - MathWorks 한국을 가지고 따라 하며 부연설명을 추가하여 만든 자료입니다

MATLAB Documentation - MathWorks 한국

다음 MATLAB 명령에 해당하는 링크를 클릭했습니다. 명령을 실행하려면 MATLAB 명령 창에 입력하십시오. 웹 브라우저는 MATLAB 명령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kr.mathworks.com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표현식

다른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c, c++... etc) 언어와 마찬가지로 matlab언어는 수학적 표현을 제공하지만 matlab은 데이터형에 상관없이 모든 변수가 행렬이기에 수학 표현식은 행열 전체를 포함하게 됩니다

matlab과 다른 언어의 차이는 

-matlab 데이터나 차원 크기에 대한 선언문이 필요 없습니다

-matlab에서는 새 변수 이름을 발견하면 해당 변수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적절한 용량을 할당합니다 변수가 이미 있는 경우에는 새로 변경하고 용량을 재할당합니다

예를 들어서

x=25

릴선 언하면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1*1 행렬에 25 값을 가지는 행렬이 만들어집니다(1*1 행렬은 스칼라의 의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이런 식으로 변수 이름=값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변수는

-변수 이름은 문자로 시작해야 하며 문자 자릿수 밑줄 중한가 오는 형태로 구성됩니다(a, A_1.. etc)

-matlab은 대소문자를 구분하기에 a변수와 A변수는 다릅니다

-변수 이름 길이는 상관없지만 이름의 처음 n개의 문자만 가지고 판단하기에 n 개네에서 독립적인 변수를 지정해야 합니다

변수 이름 길이는 namelengthmax로 확인 가능합니다

namelengthmax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제공:LU님

63자가 같을 경우 오류가 납니다 여러분은 63^63가지의 변수 내에서 모든 일을 처리해야 합니다(그럴 일은 없겠지만)

matlab에서는 수를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10진수 표기법이랑 소수점과 수자 앞에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기호를 선택적으로 붙입니다 과학 표기법에서는 문자 e를 사용하여 10의 거듭제곱 스케일링 인자를 지정합니다. 허수에는 i 또는 j가 접미사로 사용됩니다.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수표현

MATLAB 내부에서는 모든 수를 IEEE® 부동소수점 표준에 지정된 long 형식을 사용하여 저장합니다. 부동소수점 숫자는 약 16개 유효 소수점 자릿수의 유한 정밀도와 약 10-308 ~ 10+308의 유한한 범위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이런 형태로 저장됩니다

double

double형으로 표현되는 숫자는 최대 정밀도가 52비트입니다. 52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double형은 정밀도의 일부가 손실됩니다

x = 36028797018963968;
y = 36028797018963972;
x == y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52BIT가 넘어가면 전부 다 잘립니다

INT

정수형 8 16 32 64BIT의 정밀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x = uint64(36028797018963968);
y = uint64(36028797018963972);
x == y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MATLAB에서는 복소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저장합니다. 또한 실수부의 크기와 허수부의 크기를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sort 함수는 크기에 따라 정렬을 실행하고 크기가 같은 경우 위상각을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볼까요

 sort([3+3i, 4+3i 5+3i])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sort([5+2i, 5+3i 5+4i])
매트랩 e 표현 - maeteulaeb e pyohyeon

추가로 복소수는 등호 관계 연산자인 ==를 사용하려면 실수부와 허수부가 모두 같아야 합니다. 그 밖의 이진 관계 연산자 > <, >=, <=는 수의 허수부는 무시하고 실수 부만 고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