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궁합 끌림 - saju gunghab kkeullim

궁합연구

매력,남녀간 끌리는 사주란..결혼할 때 사주 궁합..

사주상 남녀간에 끌리는 이성에 대한 이유가 분명 있다고 합니다.

아래 여러 케이스가 있는데, 사주 궁합을 볼 때 꼭 한번즘 그 이유를 봐 둬도 좋을 듯 합니다.
 

남녀간의 끌림에 대한 사주상으로 질문을 한 회원이 있었기에 답변을 드리고자 한다.

 1. 일간끼리가  서로간에 합거가 되면 그렇다.

 甲-己 , 乙-庚 , 丙-辛 , 丁-壬 , 戊-癸 합이다. 이 경우는 정신적인 합이다.

위중에서 특히 丙-辛 , 丁-壬 , 戊-癸 합은 서로간의 유혹합이다.

 2. 일지가 육합 , 삼합 , 또는 일지가 같은 경우이다.

육합은 子-丑 , 寅-亥 , 卯-戌 , 辰-酉 , 巳-申 , 午-未 이고, 

삼합은 亥-卯 , 卯-未 , 子-辰 , 申-子, 酉-丑 , 巳-酉 , 寅-午 , 午-戌 으로서 이런 삼합. 육합의  느낌은

협조자들끼리의 만남이고, 일지가 같은 경우는  마치 친구같은 연인의 느낌이다. 

삼합의 경우는 일지를 기준으로하여 상대의 본명 성인 년지를 기준으로 삼합이 되는 경우도 포함을 하는 것이다. 

3. 자기 사주에서 도화에 해당하는 글자가 상대에게 있는 경우이다.

 예를들면 亥-卯-未 생이라면 도화는 子 이다.

이의 子가 상대의 년-월-일지에 있다면 상대에게 호감이 많이 끌리게 되는 것이다. 

4. 자기 사주에서 도화가 있을시에는 도화와 육합하는 글자가 상대에게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년. 월. 일지에만 해당을 하는 것이다.

도화가 子 라면 상대에게 丑 . 도화가 午 라면 상대에게 未 .도화가 卯 라면 戌 . 도화가 酉 라면 辰이다.

이 경우도 상대에게 이상하리만큼 호감이 끌리게 된다. 

5. 본인의 사주에서 육해살에 해당하는 글자가 상대의 년. 월. 일지에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전생에서 어떤 신세를 진 계기가 있어 빚을 갚으로 찾아온 인연이다. 

6. 본인의 일지를 기준으로 공망이 같은 일지를 가진 경우이다.

이 경우는 서로간에 합심하여 세상 살이를 개척하고자 온 인연이다.

이 경우는 진공이든지, 반공이든지간에 똑 같이 해당 된다.

이런 경우는 비교적 부유하게 잘 살기는 하지만, 그렇지만 공망이 같기에 서로간에 빈 공간을 채우려는

그런 다른이면이 있기도 하다. 특히 진공이 남성에게는 재성이 되거나, 여성에게는 관성이 될시에는 살면서

이성간의 문제가 발생을 한다 . 

7. 서로간의 일간을 기준으로하여 남자의 경우는 상대일간이나 년간이 정재에 해당을 하고,

여자의 경우는 상대일간이나 년간이 정관성에 해당을 하는 경우이다.

특히 일간끼리가 남자는 정재성,여성은 정관성이 된다면 남편과 아내로서의 필수적인  만남이다. 

8. 본인의 일간을 기준으로 상대일간이나 상대 사주에서의 년. 월, 일지에서의 천을귀인의 만남 이다.

천을 귀인은 甲-戊-庚 일주는 丑-未 . 乙-己 일주는 子-申 . 丙-丁 일주는 亥-酉 . 壬-癸 일주는 巳-卯 이다.

이런 경우는 귀한 자손을 잇게하기 위한 조상의 계시에 의한 만남 이다. 

9. 서로간에 사주상으로 같은 오행이 많은 경우이다.

사주상으로 木이 많은데 상대의 사주가 木이 많거나,  水가 많은데 상대도 水가 많거나,

金이 많은데 상대도 金이 많거나,

土가 많은데 土가 많거나, 火가 많은데 상대도 火가 많은 경우에도 끌림이 통하게 된다.

이런 경우는 끼리끼리의 만남이다. 왜냐하면 나무는 서로간에 많은곳에서 같이 모여있고,

물도 물이 많은 강이나 바다로 모여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경우는 경쟁을 하다가 약육강식의 원리에서 결국은 하나는 쇠퇴해 질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는 대운상으로 서로간에 엇갈리게 운세가 전개되지 않는한,

살면서 불의의 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향시 잔존하는 만남이라 하겠다.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 관다신약들의 놀라운 공통점 ㅇㅇ
  • 34살 올해부터 인생 처음으로 알바하며 돈벌고있어............. ㅇㅇ
  • 음침하고 주눅들어있는 관다녀 도와주면 ㅇㅇ
  • 역학 갤러리 서버 이전 되었습니다. 운영자
  • 본인 임신공격당해서 결혼함 ㅇㅇ

갤러리 본문 영역

존나 정확한 사주 끌림 궁합보는법 알려준다 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23.62) 2020.05.07 19:34:35


자기가 많이 가지고 있는 오행 을 생해주는 오행을 많이 가진 사람에게 끌림
1.금일간 관(화)다자는 관인상생 되는 토다자에게 많이 끌림
2.토일간 인(화)다자는 관인상생되는 목다자에게 많이 끌림
3.토일간 비겁(토)다자는 비겁을 생해주는 화다자에게 끌림
4. 수일간 인성(금)다자는 관인상생해주는 토다자에게 끌림

자신이 많이 가지고 있는 오행을 생해주거나 설해주는 오행에게 많이 끌리는데 결론적으로 설보다는 생이 더 오래가고 기 안빨림 그러므로 관인상생 오행 관계가 서로 생해줘서 좋은거임


추천 비추천

86

사주 궁합 끌림 - saju gunghab kkeullim
3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내부 검색

오른쪽 컨텐츠 영역

궁합편

1. 運이란.

나를 정확히 알고, 넘치는 것과 부족한 것을 삼가하고, 채워서 좋은 運明으로 바꿔

가고자 함이며 자신의 의지와 노력에 따라 운명이 바뀐다는 것 

2. 겉궁합과 속궁합.....궁합이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뜻한다.

  ㅇ 겉궁합은 태어난 연지(支) 기준으로 삼합이나 육합이면 좋고,충이나 원진이면 나쁘다.

  ㅇ 속궁합은 일간끼리 관계로 일간이 합을 이루거나 생이면 좋고 충이나 상극이면 나쁘다.

  * 가장 좋은 속궁합은 일간이 서로에게 용신 역할을 해주면서,
    서로를 생하게 해주는 것이다. 속궁합은 흔히 섹스를 말하는데..곡 그렇지 않고..
    오히려 심리적인 면이 많다..성격이 맞는가..아닌가..하는 문제다.

3. 결혼운.....

   ㅇ 남자는 재성(정재,편재) 관살(정관,편관)운으로 판단.
   ㅇ 재성은 배우자를 의미하며, 관살은 자식을 의미 한다.
   ㅇ 여자는 관살(정관 편관) 식상(식신,상관)운으로 판단.
   ㅇ 관살은 배우자를 의미 하며 식상은 자식을 의미 한다.

   ㅇ 남자는 재성, 재성이 용신,희신에 해당하면 처복이 있다.
   ㅇ 여자는 관살, 관살이 용신,희신에 해당하면 남편복이 있다.
   ㅇ 남자는 재성이 기신자리에 있거나, 재성에 충을 맞거나,

       비겁에 극을 당하면 처복이 없다.
   ㅇ 여자는 관성이 기신자리에 있거나,관성이 충을 맞거나,

       식상이 관살을 극하면 남편복이 없다.

4. 궁합(宮合)
사주상에 남녀간에 궁합을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일간(一干)궁합과 용신(用神)궁합이다.

궁합이란 서로 부족한 것을 채워 주거나, 넘치는 것을 제어해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궁합이 좋다는 의미는 서로가 좋은 상호작용을 한다는 의미이다.

첫째, 일간(일간)궁합이다.
자신과 상대의 일간이 같은 오행이거나 서로 생해주는 오행일 경우 좋은 궁합이고,

극하는 오행일 경우는 나쁜 궁합으로 볼 수 있다.
궁합 보는 데 있어서, 일간은 “나”임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 일 것이다.

두 번째, 용신궁합이다.
자신의 용신 오행과 상대의 용신 오행을 비교하여, 같은 것이나

서로 생해 주는 것은 좋은 궁합이고, 극하는 오행일 경우 나븐궁합으로 간주 한다.
이는 일간궁합 보는 법과 같다.

세 번째, 오행궁합이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오행의 구성과 상대가 가지고 있는 오행을 서로 비교하는 것인데,

자신이 없거나 부족한 것을 상대가 가지고 있으면 좋은 궁합으로 볼 수 있고,

자신과 비슷한 오행구성을 가지고 있다면 나쁜 궁합에 속할 것이다.

네 번째, 십성궁합이다.
위의 오행궁합과 같은 원리로 보면 된다.


다섯 번째, 합과 충 궁합이다.
자신의 천간지지와 상대의 천간지지를 비교하여 합과 충이 있는지 찾아보는 것인데,

주로 지지의 비중이 크다. 합이 있으면 궁합에 좋은 작용을 할 것이며,

충이 있으면 궁합에 안좋은 작용을 할 것이다. 원진(원진)의 적용은 무시해도 좋다.

현대인은 사주궁합을 보기에 앞서 타인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하는 결혼관,

취미, 직업(맞벌이)등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전혀 다른 환경에서의 가치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봅니다. 즉, 평범하기를 거부한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