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우리는 지난시간 배터리를 이용한 MFC 작동 실험 과정에서

전압(V) x 전류(A) = 전력(W) 임을 확인했습니다.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이번시간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 제품들을 대상으로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등을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력량을 구해 봅시다

전력량이란 전력의 사용량을 뜻하며 기본적으로 전기 요금 고지서에서 요금을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단위는 와트시(Watt-hour - Wh) 또는 킬로 와트시(Kilo Watt-hour - kWh) 를 사용하며,

계산 방법은 전력(Watt) x 시간(hour) 입니다.

위에 전력은 전압 x 전류 라고 했으니, 전력량의 계산법은

전압(V) x 전류(A) x 시간(h) 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가전제품의 전원 공급 요구사항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1. 냉장고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위의 사진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의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표 입니다.

저 정보를 이용해 냉장고의 전압, 전류, 전력 등을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월간 소비 전력량이 35.9 kWh 라고 표시 되어 있는데, 우선 35.9 kW = 35900 W 입니다.

그리고 '월' 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30일 x 24 시간 = 720 시간 입니다.

35900 W ÷ 720 시간 = 49.861 W, 이 냉장고의 전력은 49.861 W 입니다.

여기서 다시 전류 = 전력 ÷ 전압 을 이기 때문에 전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우리나라의 가정용 전압은 220 V 입니다.

따라서 49.861 W ÷ 220 V = 0.226 A, 226 mA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 냉장고의 전원 공급 요구 사항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2. 전기 밥솥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위의 사진은 전기 밭솥의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표 입니다.

소비 전력만 나와 있는데, 1040 W 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압과 전류를 계산해 보면,

1040 W ÷ 220 V = 4.72 A , 즉 4720 mA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냉장고보다 전기 밥솥을 사용할 때 약 20배 정도 더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

#가전제품 #volt #ampere #watt #전원공급요구사항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수주만땅 2021. 8. 23. 01:00

안녕하세요 행복한집 입니다.

이번 글은 소비전력과 전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집에서 사용하고있는 믹서기의 소비전력입니다.

소비전력(W) = 전류 (A) * 전압(V) 의 공식으로 구합니다.

가정집에선 전압이 220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니

소비전력과 전류는 비례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소비전력과 전류를 쉽게 설명하자면

전류는 도로폭이고 (2차선, 4차선) 소비전력은 자동차 통행량과 같습니다.

그래서 소비의 주체인 가전제품은 와트(W)가 표기됩니다.

전선, 차단기, 콘센트등 통로의 역활을 하는 제품은 암페아(A)가 표기됩니다.

통행량에 걸맞는 도로가 필요하듯이

소비전력에 맞는 전류가 필요합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믹서기는 1,000W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1,000/220 = 4.55A의 전류가 필요합니다.

만약 통로가 4.55A가 안된다면 과부하가 걸려

전선에 열이 발생하고, 화재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콘센트의 전류는 16A입니다.

멀티탭에 많이 꽃아서 사용하면 불난다는 말 들어보셧죠?

소비전력이 낮은 제품이야 멀티탭으로 생각안하고 사용하셔도 되지만

소비전력이 큰 믹서기, 세탁기, 인덕션등은

콘센트에 여러개를 동시에 가동하면 위험합니다.

특히 요즘 나오는 인덕션은 3000W가 넘는 제품도 많이 있습니다.

계산상 전류는 콘센트 전류보다 낮으나

현실은 최대 전류의 60~80% 사용을 권장하니

사실상 콘센트에 꽃아서 쓰면 안되는 제품들입니다.

이런경우 콘센트를 거치지 않고 배선에 바로 연결해서 사용됩니다.

소비 전류 정격전류 - sobi jeonlyu jeong-gyeogjeonlyu

안녕하세요?
질게에서 가끔 쏠쏠하게 답변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답변 올려주시는 분들 감사드리구요..

사무실 차단기가 자꾸 나가서, 정말 과전류가 흐르는 건지 알아볼려고 하는데, 제가 생각한 게 맞는지
혹시 관련 지식 갖고 계신 분이 있으면 도움 좀 부탁드릴게요.

1. UPS에 붙은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30A 입니다.
2. 그 차단기에 붙은 기기들의 소비전류는
- PC 7대 : 대당 300W 이므로 약 1.5A X 7 = 10.5A
- 에어컨 : 최대소비전류 15A (기기에 써 있음)
- 커피포트 : 소비전력 900W 이므로 900/220 = 4.1A
3. 10.5+15+4.1=29.6

이 정도면 차단기가 떨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PC는 모니터까지 합한 거구요)

물론 정확한 측정이야 측정하는 기계가 있겠지만,
제가 위에 쓴 방식이 대략 맞는 방식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