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석고 - aljineiteu insangchaedeug seoggo

...

저널정보

  • 대한턱관절교합학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학술저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제31권 제4호
  • 2015.12 316 - 328 (13page)

저자정보

  • (원광대학교)
  • 이진한 (원광대학교)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석고 - aljineiteu insangchaedeug seoggo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목적: 보관 조건과 석고 주입 시간에 따라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채득된 알지네이트 인상체는 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에 보관하는 것과 진료실 내의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태로 보관 조건을 달리하였다. 보관 조건에 따라 각각 즉시, 채득된 후 10분, 30분, 180분, 360분으로 나누어 보관한 후에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석고 모형을 3D 레이저 스캐너로 삼차원 디지털 모형을 구성하였고 구성된 디지털 모형의 참고점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변형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삼차원 디지털 평균 모형을 제작한 후 중첩을 시행함으로써 표면 변위가 발생한 부위와 크기를 확인하였다.
결과: 인상 채득 즉시 제작한 모형의 변형률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공기 중에 보관한 인상체보다 항습조에 보관한 인상체의 변형률이 작게 나타났다. 석고 주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형률도 증가하였으며, 석고 주입 시간이 180분을 지나면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대구치 부위에서 변형률과 표면 변위가 증가한다.
결론: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인상 채득 후, 즉시 모형을 제작해야 한다.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100%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를 이용하고, 보관 시간은 180분을 넘지 않도록 해야 정확한 모형을 얻을 수 있다.

목차

서론
연구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6)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전악의 디지털 인상 채득 시 치과용 모형재가 디지털 모형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김기백 ,  이경탁 ,  김혜영 외 1명

    치위생과학회지

    2012

  • 인상체 스캔 및 석고모형 스캔으로 얻어진 디지털 모형의 3차원 정확성 비교

    김단비 ,  김정미 ,  김유리

    대한치과재료학회지

    2018.03

  • 보철 치료 시 디지털 및 전통적 인상채득에 대한 환자 만족도 비교 연구

    윤형인 ,  이수민 ,  박은진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6

  • 디지털 인상법과 종래인상법을 동시에 경험한 임상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분석

    양은비 ,  김봉주 ,  이준재 외 2명

    구강회복응용과학지

    2018.12

  • 치간 유두 소실로 인한 언더컷이 인상체의 체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리 ,  김석규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5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석고 - aljineiteu insangchaedeug seoggo

주용훈

소속기관 원광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의약학 > 치의학

논문수 2 이용수 322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석고 - aljineiteu insangchaedeug seoggo

이진한

소속기관 원광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의약학 > 치의학 TOP 10%

논문수 14 이용수 1,409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초록

목적: 보관 조건과 석고 주입 시간에 따라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채득된 알지네이트 인상체는 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에 보관하는 것과 진료실 내의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태로 보관 조건을 달리하였다. 보관 조건에 따라 각각 즉시, 채득된 후 10분, 30분, 180분, 360분으로 나누어 보관한 후에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석고 모형을 3D 레이저 스캐너로 삼차원 디지털 모형을 구성하였고 구성된 디지털 모형의 참고점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변형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삼차원 디지털 평균 모형을 제작한 후 중첩을 시행함으로써 표면 변위가 발생한 부위와 크기를 확인하였다. 결과: 인상 채득 즉시 제작한 모형의 변형률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공기 중에 보관한 인상체보다 항습조에 보관한 인상체의 변형률이 작게 나타났다. 석고 주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형률도 증가하였으며, 석고 주입 시간이 180분을 지나면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대구치 부위에서 변형률과 표면 변위가 증가한다. 결론: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인상 채득 후, 즉시 모형을 제작해야 한다.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100%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를 이용하고, 보관 시간은 180분을 넘지 않도록 해야 정확한 모형을 얻을 수 있다.

Abstract

Purpose: The object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ental stone casts made from alginate impressions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 and stone pouring time. Materials and Methods: Each of upper and lower impressions of dental model was taken. The dental stone models were made immediately, 10, 30, 60, 180, 360 minutes after the impressions were taken at each storage condition. 3D models were constructed by scanning the stone model using 3D laser scanner. With Reference points, positioned on digital models, linear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al change were compared by 3D metrology software, 3D average models were made and superimposition to identify the specific site of dimensional change and to measure surface deviation (mm). Results: Dental stone models which were made immediately after taking the impression showed the smallest linear dimensional change. As the stone pouring time was prolonged, the linear dimensional change was increased. More than 180 minutes after impression taking, linear dimensional change and surface distortion increased in the posterior molar region, regardless of the storage condition. Conclusion: For the optimum accuracy of the dental stone casts, alginate impression should be poured as soon as possible. If there were a need for storing, a humidor with 100% relative humidity must be used and be stored less than 180 minutes to fabricate the accurate dental model.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질문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용 모형

환자의 치아 및 주위조직을 정확히 재현하는 치과용 모형이 필요한 이유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치과 기공물이나 장치를 직접 제작할 수 없기때문에

치과 치료에서 환자의 구강 내 조직을 복제한 치과용모형을 제작하는 것은 중요한 진료 과정이다. 환자의 구강 내에서 치과 기공물이나 장치를 직접 제작할 수 없기때문에 환자의 치아 및 주위조직을 정확히 재현하는 치과용 모형이 필요하게 된다.1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구강 내 조직의 음형을 채득하는 과정인 인상 채득 과정이 필요하다.

단순화된 기둥모형

인상재의 크기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실험방법에서 단순화된 기둥모형을 주모형으로 사용하는 실험의 단점은?

단순화된 실험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변수가 적어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지만 인상재 자체의 물성에 국한된 자료만을 얻을 수 있었다

단순화된 기둥모형을 주모형으로 사용하는 실험은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기준점 간의 거리를 직접 캘리퍼스로 측정하거나,12 영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13 이러한 실험 방법은 단순화된 실험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변수가 적어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지만 인상재 자체의 물성에 국한된 자료만을 얻을 수 있었다. 악궁의 형태를 재현한 주모형을 사용하는 실험은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지만구강 내 상태와 유사한 조건을 부여하여 임상에 유용한자료가 될 수 있다.

치과용 모형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구강 내 조직의 음형을 채득하는 과정인 인상 채득 과정

환자의 구강 내에서 치과 기공물이나 장치를 직접 제작할 수 없기때문에 환자의 치아 및 주위조직을 정확히 재현하는 치과용 모형이 필요하게 된다.1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구강 내 조직의 음형을 채득하는 과정인 인상 채득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채득된 인상체에 치과용 석고를 주입함으로써 치과용 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26)

  1. 1. Anusavice KJ. Phillip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12th ed. St. Louis; Elsevier Inc.; 2013. p. 171-6. 
  2. 2. Rubel BS. Impression materials: a comparative review of impression materials most commonly used in restorative dentistry. Dent Clin North Am 2007;51:629-42. 
  3. 3. Donovan TE, Chee WW. A review of contemporary im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s. Dent Clin North Am 2004;48:445-70. 
  4. 4. Nandini VV, Venkatesh KV, Nair KC. Alginate impressions: a practical perspective. J Conserv Dent 2008;11:37-41. 
  5. 5. Cook W. Alginate dental impression materials: chemistry, structure, and properties. J Biomed Mater Res 1986;20:1-24. 
  6. 6. Sedda M, Casarotto A, Raustia A, Borracchini A. Effect of storage time on the accuracy of casts made from different irreversible hydrocolloids. J Contemp Dent Pract 2008;9:59-66. 
  7. 7. Rudd KD, Morrow RM, Bange AA. Accurate casts. J Prosthet Dent 1969;21:545-54. 
  8. 8. Eissmann HF, Rudd KD, Morrow RM. Diagnostic procedures. In: Dental laboratory procedures: fixed partial dentures. Vol. 2. St. Louis; Mosby; 1980. p 1-29. 
  9. 9. Erbe C, Ruf S, Wostmann B, Balkenhol M. Dimensional stability of contemporary irreversible hydrocolloids: humidor versus wet tissue storage. J Prosthet Dent 2012;108:114-22. 
  10. 10. Walker MP, Burckhard J, Mitts DA, Williams KB. Dimensional change over time of extended-storage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Angle Orthod 2010;80:1110-5. 
  11. 11. Nassar U, Aziz T, Flores-Mir C. Dimensional stability of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as a function of pouring time: a systematic review. J Prosthet Dent 2011;106:126-33. 
  12. 12. Johnson GH, Craig RG. Accuracy of four types of rubber impression materials compared with time of pour and a repeat pour of models. J Prosthet Dent 1985;53:484-90. 
  13. 13. Wadhwa SS, Mehta R, Duggal N, Vasudeva K. The effect of pouring time o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casts made from different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Contemp Clin Dent 2013;4:313-8. 
  14. 14. Cohen BI, Pagnillo M, Deutsch AS, Musikant BL. Dimensional accuracy of three different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odont 1995;4:195-9. 
  15. 15. Oh NS, Seo JM, Kim SH, Youn YA, Shim JS. Agaralginate combined impression technique and dimensional change resulting from idophor disinfec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4;42:21-9. 
  16. 16. Alcan T, Ceylanoglu C, Baysal B.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odel accuracy and time-dependent deformation of alginate impressions. Angle Orthod 2009;79:30-6. 
  17. 17. Sousa MV, Vasconcelos EC, Janson G, Garib D, Pinzan A.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3-dimensional digital model measurem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2;142:269-73. 
  18. 18. Roesnstiel SF, Land MF, Fujimoto J.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4th ed. St. Louis; Mosby; 2006. 
  19. 19. Dreesen K, Kellens A, Wevers M, Thilakarathne PJ, Willems G. The influence of mixing methods and disinfecta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Eur J Orthod 2013;35:381-7. 
  20. 20. Frank RP, Thielke SM, Johnson GH. The influence of tray type and other variables on the palatal depth of casts made from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s. J Prosthet Dent 2002;87:15-22. 
  21. 21. Ashley M, McCullagh A, Sweet C. Making a good impression: (a 'how to' paper on dental alginate). Dent Update 2005;32:169-70, 172, 174-5. 
  22. 22. Sakaguchi RL, Powers JM. Craig's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13th ed. Philadelphia; Elsevier Inc.; 2012. 
  23. 23. Song KY, Yang JH, Lee SH, Chung HY. A study on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materials following immersion disinfec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9;37:506-15. 
  24. 24. Nassar U, Hussein B, Oko A, Carey JP, Flores-Mir C. Dimensional accuracy of 2 irreversible hydrocolloid alternative impression materials with immediate and delayed pouring. J Can Dent Assoc 2012;78:c2. 
  25. 25. Teeter MG, Naudie DD, McErlain DD, Brandt JM, Yuan X, Macdonald SJ, Holdsworth DW. In vitro quantification of wear in tibial inserts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Clin Orthop Relat Res 2011;469:107-12. 
  26. 26. ADA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and ADA Council on Dental Practice.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the dental office and the dental laboratory. J Am Dent Assoc 1996;127:672-80.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